2024 출산 정책2 2024년 임신, 출산 지원 정책 모음 정리 - 첫만남이용권, 산후조리비용, 신혼부부 증여 상한액 증가, 난임 시술비 지원 2024년에는 임신, 출산 지원 정책에 변화가 있다. 출산율이 낮아지고 있는 만큼, 정부 지원 정책이 금액적으로나 항목적으로나 더 좋아지고 있다. 정부에서 알아서 지원해 주는 것도 있지만, 본인이 확인해서 체크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몰라서 신청을 못했다고 소급 지원해 주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꼼꼼하게 체크해 보도록 하자. 임신 지원 정책 1. 사전 난임 검사비 지원 정부는 올 4월부터 임신 계획 단계부터 건강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필수 가임력 검사 비용을 지원한다. 새롭게 신설 되는 이 제도의 정식 명칭은 '사전 난임 검사 지원 사업' 으로, 난소기능검사와 부인과 처음파, 정액 검사 등의 비용을 지원받을 수 있다. 지원되는 비용은 여성 10만원, 남성 5만원으로 예상된다. 2. 냉동난자 보조생식술 비용.. 일상생활/임신 출산 육아 2024. 1. 9. 2024년 출산,육아 정책 제도 요약 - 6+6 육아휴직, 부모급여, 아동수당, 출산가구 특례대출 등 대한민국은 출산률이 0.8 이하로 급격한 인구 감소 문제를 겪고 있는 나라이다. 이 상태가 지속되면 향후 경제 인구가 급감해서 사회가 존속하기가 어려울 것이 뻔하다. 이로 인해 나라에서는 여러가지 지원 제대로를 통해 출산율을 높이기 위한 시도를 하고 있다. 오늘은 2024년 출산, 육아 정책 제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임신 1. 사전 난임 검사비 지원 (여성 10만원, 남성 5만원) 2. 냉동난자 보조생식술 비용 최대 2회(100만원 지원) 3. 난임 시술비 지원 소득기준 폐지 출산 1. 첫만남 이용권(200만원) 둘째아부터 300만원으로 인상 2. 산후조리비용 세액공제 소득기준 폐지 양육 1. 부모급여 인상(0세 월 70만 → 100만, 1세 월 35만 → 50만원) 2. 자녀장려금 소득기준 완화 (부부.. 일상생활/임신 출산 육아 2024. 1. 8.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