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 이름을 지으면서 성명학에 관련된 내용을 가벼운 수준으로 공부했는데, 그 내용을 공유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이름은 대부분 한자 이름 3자가 기본인데, 한자의 획수를 가지고 음양오행의 원리를 적용하여 이름의 길흉화복을 따진다.
성명학에서 중요한 것은, 한자 획수를 셀 때 원획법을 사용하는 것이다.
원획법은 일반 한자사전이나 네이버 한자 획수와 차이가 발생한다.
오늘은 이름 한자 획수를 세는 방법에 대해 정리해 보았다.
1. 필획법
보통 한자사전(옥편)이나 네이버 한자사전 등에서 확인할 수 있는 한자 획수.
실제로 한자를 쓸 때 붓(펜)이 반복해야 하는 횟수를 말한다.
예를 들어, 물 수자의 경우는 총 4번의 획순이 필요하다.
2. 원획법
원획법은 옥편에 나오는 원래의 한자 부수로 획수를 계산하는 방법이다.
근원 원자를 예시로 들어 보면, 필획법에서는 물 수자가 부수 3 + 언덕 원 10 해서 총 13획으로 계산한다.
하지만 원획법에서는 부수인 삼수변 수를 물 수자로 계산해서 4+10 해서 14획으로 계산이 된다.
3. 원획법과 필획법 획수 차이나는 한자
원획법과 필획법의 획수 차이는 이름 한자의 짝/홀과 총 획수가 달라지게 되어 81수리오행이 완전 변하게 된다.
아래 표를 참고하여 정확한 횟수를 계산할 수 있도록 하자.
4. 곡획법
한자를 쓸 때 한 번 구부러질 때마다 하나의 획수로 계산하는 방법이다.
乙 의 경우 필획법에서는 1획이나, 곡획법에서는 4획이 된다.
곡획법은 88괘상론을 적용하는데 사용하지만, 최근 성명학의 작명은 99% 이상 원획법이 사용되므로 곡획법까지 고려할 필요는 없다.
작명법에 따른 한자 획수는 "원획법" 이므로, 아래 글들을 잘 참고해서 좋은 이름을 짓도록 하자.
'일상생활 > 임신 출산 육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출산,육아 정책 제도 요약 - 6+6 육아휴직, 부모급여, 아동수당, 출산가구 특례대출 등 (0) | 2024.01.08 |
---|---|
신생아 딸꾹질 멈추는 법 (1) | 2024.01.05 |
이름 짓는 법 5 - 수리오행(원형이정), 81수리길흉(2) (1) | 2023.12.27 |
이름 짓는 법 4 - 음양오행과 수리오행(원형이정), 81수리길흉(1) (1) | 2023.12.26 |
아기 이름 짓는 법 3 - 이름에 사용하는 한자 (인명용 한자표) (0) | 2023.12.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