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생활/임신 출산 육아

대한민국 평균 임신 연령과 연령대별 임신 확률 - 임신 가능성 얼마나 될까?

혁이e 2024. 1. 18.

한국의 평균 임신 연령은 지난 수십 년 동안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는 비단 한국만의 문제가 아니고, 선진국 나라들의 공통적인 추세이다.

 

임신 나이가 많아지는 이유로는 교육 정도, 직장에서의 경력, 변화하는 사회적 분위기 등이 있다.

한국의 평균 임신 연령과 연령대별 임신 확률은 얼마나 되는지 통계적으로 알아보고자 한다.

 

한국 평균 임신 연령과 연령대별 임신 확률
한국 평균 임신 연령과 연령대별 임신 확률

1. 한국 평균 임신 연령

우리나라 초산모의 평균연령은 꾸준히 높아지고 있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초산모의 평균연령은 1990년대 25세 안팎에서 최근에는 31세 이상으로 증가하였다.

여성의 교육과 경력 개발, 낮아지는 결혼 인구 (증가하는 나홀로 가구) 등이 이러한 원인이기에, 이러한 상승 추세는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2. 연령별 임신 확률

임신 가능성은 생물학적 요인으로 인해 여성의 나이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여성의 가임 확률은 20대와 30대 초반에 가장 높고 35세 이후부터 점차 감소하기 시작한다.

 

다음은 연령대별 임신 확률을 대략적으로 분석한 자료이다.

  • 20대: 20대 여성은 주기당 임신 확률이 가장 높으며 매월 약 20~25%의 임신 가능성이 있다. 출산율은 일반적으로 이 기간 동안 최고조에 달한다.
  • 30대: 30대 초반에는 주기당 임신 확률이 약간 감소하여 매월 약 15-20%의 임신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30대 중후반이 되면 이러한 추세가 급격하게 감소하기 시작하여,  35세 이후에는 가임력의 저하가 두드러지게 된다. 이 때는 주기당 임신 확률이 10~15% 정도로 떨어진다.
  • 40대: 40대 여성은 출산율이 현저히 감소하여 주기당 임신 확률이 일반적으로 5% 미만으로 낮아진다. 자연 임신의 기회는 이 연령대에서 상당히 감소하기 때문에, 인공 임신을 시도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확률은 근사치이며 전반적인 여성의 건강, 라이프스타일 및 기저 질환 등에 의해 인해 개인마다 다를 수 있다.

 

 

3. 노산의 영향

출산 지연, 즉 노산은 여성의 생식 건강과 임신 가능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여성이 나이가 들면 난자의 양과 질이 감소하여 생식력이 감소하고 아기의 유산 및 염색체 이상 위험이 증가한다.

임신을 미루려는 여성의 경우 연령 관련 출산율 감소와 관련된 잠재적 문제를 충분히 인식하고 결정하는 것이 좋다.

 

늦은 나이에 나중에 임신을 원하는 경우, 불임 전문 산부인과에서 검사를 받아 보는 것을 추천한다.

개인의 생식 가능성과 난자의 상태 등을 평가하고 난자 동결 또는 생식 보조 기술(ART)과 같은 시도를 한다면 향후 건강한 아이를 임신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우리나라의 평균 임신연령 역시 전세계적인 추세와 비슷하게 해마다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임신 가능성은 여성의 나이에 매우 큰 영향을 받는다.

가임력은 20대와 30대 초반에 최고조에 달하고 그 이후에는 점차 감소할 뿐만 아니라, 난자의 질도 차이가 난다.

 

임산부 개인과 부부가 가족 계획을 충분히 상의해서 임신 가능성까지 고려해 결정을 내리기를 바란다.

임신을 30대 후반이나 40대까지 늦출 생각이거나 늦은 결혼을 하게 된다면 그 전에 적절한 의학적 조언을 구하고 생식력 보존 옵션을 고려하는 것은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댓글

💲 추천 글